컴퓨터네트워크
-
보안컴퓨터네트워크 2021. 11. 26. 18:16
네트워크 보안을 위해 암호학이 사용된다. 암호화는 기밀성, 메시지 무결성, 종단 인증을 제공하는 데 핵심기술이다. 암호의 원리 평문(plaintext)를 암호화 알고리즘을 사용해 암호문(ciphertext)으로 만든다. 하지만 암호화알고리즘은 누구나 알 수 있어서 암호화를 할때 키가 사용된다. 키는 암호화알고리즘의 입력값 키에는 대칭키와 공개키가 있다. 대칭키 : 송신자와 수신자 키가 같다.(암호화키와 복호화키가 같다. 키는 비공개) 공개키 : 한 쌍의 키 사용. 키 중 하나는 공개, 다른 키는 송신자와 수신자 한명만
-
T혼잡제어컴퓨터네트워크 2021. 11. 3. 16:57
네트워크의 사용자가 많아질수록(라우터에 오는 패킷이 많아질수록) 네트워크의 혼잡이 발생한다. 혼잡제어방법으로는 2가지가 있다. 1. 종단간의 혼잡제어 = 단말(노드)에서 혼잡을 제어하는 형태 (TCP 혼잡제어지원) 2. 네트워크 지원 혼잡 제어 = 라우터(혼잡이 발생한 곳)에서 직접적으로 송신자(노드)한테 혼잡이 발생했다고 알려준다. 1. 종단간의 혼잡제어 더보기 * TCP 특징 흐름제어 및 혼잡제어 지원 높은 신뢰성 송신자(TCP를 사용)는 cwnd, rwnd 를 고려해 전송률을 결정한다. min(cwnd, rwnd)에 따라 전송률 결정 간략하게 cwnd는 송신자가 보낼 수 있는 윈도우(혼잡 윈도우) rwnd는 수신자가 받을 수 있는 크기(여유공간) cwnd(혼잡 윈도우)에 따라 전송률을 결정하는 방법..